리더쉽에 대한 탐구(출석부)
정재훈(15)
작성일
05-03-25 09:42 9,418회
4건
본문
최근 세계적으로 경기의 순, 역에 관계없이 혁신적 경쟁력의 강화가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는 결국 우수한 강자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음에 대한 반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일류의 수준에 들지 못하면 살아남지 못하며 시장과 환경의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 지고 있어 혁신적인 대응 능력의 확보가 주요 관건이 된 것은 이미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혁신적 경쟁력은 어떻게 확보 할 수 있을까?
세계적 컨설턴트 짐 콜린스가 스탠포드 팀과 35년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출한 ‘good to great’나 피터 드러커의 책자들, 워렌 버펫 보고서, 하버드 리포트 등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혁신(turbulence) 시대의 성공 비법은 리더십에 있으며 이런 성공적인 대응을 만들어 냈고 또 만들어 가고 있는 조직의 리더십에는 핵심적인 공통점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발견해 내었다.
우리는 흔히 리더십이라 하면 카리스마를 떠 올린다. 그런데 놀랍게도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조직에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없었다. 오히려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결과는 반짝 성공 후 커다란 실패나 사라짐이었음이 증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리더들이 지시형 또는 선도형의 리더십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리더는 성과를 내야 한다. 그러나 현대 기업의 경쟁력이란 결국 사람이다. 그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조차도 결국 핵심 인재들로부터 나와서 사람들을 통해 제품화하고 사람들을 통해 판매되고 고객들을 상대하게 된다. 결국 리더는 스스로 우수해서 이런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시키는 일만 하면서 입 다물고 있는 직원들은 근무 의욕이 떨어지고 수동적이 될 수 밖에 없으며 결코 21세기형 창의적 인재가 되지 못하며 그런 인재라면 회사를 떠나고 말 것이다.
결국 리더는 성과를 사람들을 통해서 내고 그들을 성장시키며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잘 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러나 실무자로서는 일을 잘 해도 리더가 되어서는 오히려 안 되는 사람들도 많다. 무사는 칼을 잘 써야 하지만 장군은 병력을 잘 운용하는 사람인 것과 같은 이치이다.
리더십은 사람을 움직이는 기술이다. 단 시간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움직여 가는 기술이다. 그래서 현재 세계적 조직들은 강함을 앞세우고 지배 또는 지시하는 리더들 보다 인간관계가 우수한 감성적 리더, 사람들을 잘 가르치고 성장시키는 코치형 리더, 신뢰를 만들고 겸손하게 도와주는 봉사형 리더, 혼자서가 아닌 팀으로 해결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설득형 리더들이 우수하다는 것을 깨닫고 이런 리더십과 조직 문화를 배양하기 위해 핵심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사실은 이미 수천년 전부터 입증 되어지고 강조되어지던 것이었다.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늘 강한 리더십에 현혹되어왔을 뿐이다. 다만 과거에 비해 현실은 이런 리더십이 더 필요하고 미래엔 더더욱 필요할 것임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우리가 CEO라면 이런 리더들을 양성해 오고 있는지 자문해 보자. 리더라면 이런 리더십을 이해하고 실천하고 있는가? 아직 리더가 아니라면 이런 리더가 되기 위해 자신을 지속적으로 개발시켜 가고 있는가?
리더십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 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리더십은 지식이나 능력이 아닌 그 사람의 모든 것이고 한 두 번의 기술적 작업이 아닌 지속적 노력을 통해 만들어지는 품성이며 능력이기 때문이다.
리더십은 멈추지 않는다. 리더십은 리더의 인생관, 가치관으로부터 나온다. 그러기에 리더십을 향한 탐구는 결국 우리 인생을 위한 탐구가 된다.
멈추지 말자. 그리고 계속 노력하자. 그러기 전에 우선 진정한 리더의 방향을 인지하고 나로부터 변화를 만드는 진정한 리더가 되자.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일류의 수준에 들지 못하면 살아남지 못하며 시장과 환경의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 지고 있어 혁신적인 대응 능력의 확보가 주요 관건이 된 것은 이미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혁신적 경쟁력은 어떻게 확보 할 수 있을까?
세계적 컨설턴트 짐 콜린스가 스탠포드 팀과 35년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출한 ‘good to great’나 피터 드러커의 책자들, 워렌 버펫 보고서, 하버드 리포트 등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혁신(turbulence) 시대의 성공 비법은 리더십에 있으며 이런 성공적인 대응을 만들어 냈고 또 만들어 가고 있는 조직의 리더십에는 핵심적인 공통점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발견해 내었다.
우리는 흔히 리더십이라 하면 카리스마를 떠 올린다. 그런데 놀랍게도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조직에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없었다. 오히려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결과는 반짝 성공 후 커다란 실패나 사라짐이었음이 증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리더들이 지시형 또는 선도형의 리더십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리더는 성과를 내야 한다. 그러나 현대 기업의 경쟁력이란 결국 사람이다. 그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조차도 결국 핵심 인재들로부터 나와서 사람들을 통해 제품화하고 사람들을 통해 판매되고 고객들을 상대하게 된다. 결국 리더는 스스로 우수해서 이런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시키는 일만 하면서 입 다물고 있는 직원들은 근무 의욕이 떨어지고 수동적이 될 수 밖에 없으며 결코 21세기형 창의적 인재가 되지 못하며 그런 인재라면 회사를 떠나고 말 것이다.
결국 리더는 성과를 사람들을 통해서 내고 그들을 성장시키며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잘 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러나 실무자로서는 일을 잘 해도 리더가 되어서는 오히려 안 되는 사람들도 많다. 무사는 칼을 잘 써야 하지만 장군은 병력을 잘 운용하는 사람인 것과 같은 이치이다.
리더십은 사람을 움직이는 기술이다. 단 시간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움직여 가는 기술이다. 그래서 현재 세계적 조직들은 강함을 앞세우고 지배 또는 지시하는 리더들 보다 인간관계가 우수한 감성적 리더, 사람들을 잘 가르치고 성장시키는 코치형 리더, 신뢰를 만들고 겸손하게 도와주는 봉사형 리더, 혼자서가 아닌 팀으로 해결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설득형 리더들이 우수하다는 것을 깨닫고 이런 리더십과 조직 문화를 배양하기 위해 핵심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사실은 이미 수천년 전부터 입증 되어지고 강조되어지던 것이었다.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늘 강한 리더십에 현혹되어왔을 뿐이다. 다만 과거에 비해 현실은 이런 리더십이 더 필요하고 미래엔 더더욱 필요할 것임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우리가 CEO라면 이런 리더들을 양성해 오고 있는지 자문해 보자. 리더라면 이런 리더십을 이해하고 실천하고 있는가? 아직 리더가 아니라면 이런 리더가 되기 위해 자신을 지속적으로 개발시켜 가고 있는가?
리더십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 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리더십은 지식이나 능력이 아닌 그 사람의 모든 것이고 한 두 번의 기술적 작업이 아닌 지속적 노력을 통해 만들어지는 품성이며 능력이기 때문이다.
리더십은 멈추지 않는다. 리더십은 리더의 인생관, 가치관으로부터 나온다. 그러기에 리더십을 향한 탐구는 결국 우리 인생을 위한 탐구가 된다.
멈추지 말자. 그리고 계속 노력하자. 그러기 전에 우선 진정한 리더의 방향을 인지하고 나로부터 변화를 만드는 진정한 리더가 되자.